Weekly BioBrief

6월 5주차 뉴스

"유방암 환자 절반 HER2 표적 대상, 케싸일라가 저격총이면 엔허투는 수류탄"
HER2 양성 유방암은 최근 표적치료제인 ADC가 새로운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케싸일라와 엔허투가 더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어 암세포에만 독한 항암 공격을 하는 '항체-약물 접합체' 개념이 돋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HER2 양성 유방암 환자의 생존 기간이 크게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2025-07-04 | PharmNews
원문 보기
위장관 종양 고지 안 했다고 해지? 법원 ‘무효’ 판단
법원이 보험사가 고지의무 위반을 이유로 계약을 해지한 조치를 무효로 판단했다. 보험사의 일방적인 해지 관행에 법적 제동을 걸었으며, 이는 보험계약자의 고지의무를 엄격히 적용하는 중요한 판결이다.
2025-07-04 | PharmNews
원문 보기
中 디잘, 먹는 EGFR 엑손20 변이 폐암 치료제 ‘젝프로비’ FDA 첫 가속 승인
중국 기업 디잘파마슈티컬스가 NSCLC 치료제 '젝프로비'가 미국 FDA로부터 가속 승인을 받았으며, 이는 EGFR 엑손20 삽입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에 대한 경구용 치료제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었습니다.
2025-07-04 | TheBioNews
원문 보기
中 아스클레티스, ‘1일 1회’ 먹는 GLP-1 약물 美 2a상 돌입 “연내 톱라인 발표”
중국 제약사 아스클레티스파마가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한 경구용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후보물질 'ASC30'의 임상2a상을 미국에서 시작하고 첫 투약을 완료했다고 밝히며, 비만과 과체중 성인을 대상으로 한 13주간의 연구 결과는 오는 4분기에 공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2025-07-04 | TheBioNews
원문 보기
한미약품, 국제림프종학회서 혈액암 치료제 후보물질 ‘HM97662’ 연구 발표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EZH1/2 이중저해제'가 기존 항암제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이중 저해 기전을 통해 다양한 암종에 대한 효과적인 항암 치료 기회를 제시한다.
2025-07-04 | TheBioNews
원문 보기
日, 2700억원 규모 바이오 VC 펀드 조성…스타트업 생태계 본격 육성
일본이 2억달러 규모의 바이오 스타트업 투자 펀드를 조성하여 임상 전 단계 혁신 기업에 집중투자하고 있으며, AN벤처파트너스와 아치벤처파트너스와의 전략적 제휴로 글로벌 바이오 기술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2025-07-04 | TheBioNews
원문 보기
뉴다이브, 디지털 치료기기 ‘NDTx-01’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 효과 입증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지원한 뉴다이브의 디지털 치료기기 'NDTx-01'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겪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효과를 입증했으며, 이로 인해 디지털 치료기기 시장 진입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2025-07-04 | TheBioNews
원문 보기
"신약 개발자의 오기로 제2, 제3 렉라자 꽃 피울 것"
고종성 제노스코 대표가 국내 최초 폐암 신약 '렉라자'를 개발하며 넥스트 '렉라자'를 추구하는 모습을 선보였다. '렉라자'는 폐섬유증과 대뇌해면기형 등을 타깃으로 하는 신약 후보물질 제약바이오산업에서 화두를 이끌고 있으며, 고 대표는 확신 있는 가성비 높은 신약 개발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지에서 고 대표는 '넥스트 렉라자'를 구상 중이며, 한국 바이오가 도전하고 성장하는 모범사례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
2025-07-04 | HitNews
원문 보기
美서 1위 등극 K뷰티…디지털 네이티브 소비자와 클린뷰티 전략이 주효
한국 화장품이 미국 시장에서 성장세를 입증하며 역사적인 이정표를 세웠고, K-뷰티는 고기능성 스킨케어와 친환경 포장 등을 통해 미국 소비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2025-07-04 | PharmNews
원문 보기
“현행 약가제도, 기업 R&D 투자 예측성 저해…제도 정비로 투자지속성 늘려야”
약가 사후관리 제도를 개선하고 R&D 투자를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발행한 보고서에서 이화여대 교수는 예측 가능한 약가제도 확립이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의약품 접근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주장했다.
2025-07-04 | Yakup
원문 보기
‘218조 제약 공룡’ 아스트라제네카, 런던 떠날까…LSE 초비상
영국 기업 아스트라제네카가 미국으로의 주식 상장을 검토 중이며, 이는 유럽 제약 정책에 대한 불만과 미국 시장의 성장성에 따른 결과로 파악된다. 이로 인해 유럽 제약산업의 위기감이 드러나고 있으며, 런던증시에는 심각한 타격이 우려된다.
2025-07-04 | Yakup
원문 보기
[명의처방] 투석 진행 막는 당뇨 만성콩팥병 조기 진단·치료, 케렌디아 처방 증례
마케팅, 영업, 의학부 관계자 대상으로 명의처방 코너 진행 중인 팜뉴스. 의료진이 만성콩팥병 관련 정보 제공하며 eGFR과 UACR 검사 중요성 강조. 나교수는 조기 진단과 케렌디아를 통한 콩팥 기능 관리 필요성 강조.
2025-07-03 | PharmNews
원문 보기
中 바이오킨 ‘이자브렌’, EGFR×HER3 ADC 최초 3상서 비인두암 유효성 입증
백리천항약업은 EGFR×HER3 이중항체 기반 ADC 치료제 후보물질 '이자브렌'의 중간 분석에서 주요 평가 지표를 충족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해당 치료제는 PD-(L)1 및 화학요법 실패 환자들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지속적인 글로벌 적응증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2025-07-03 | TheBioNews
원문 보기
비욘드디엑스, SK바이오팜 중국법인장 출신 이광혁 CBO 영입
다중 통합 분석 솔루션 개발기업 비욘드디엑스가 SK바이오팜 중국법인 대표 출신 전문가인 이광혁을 최고사업개발책임자(CBO)로 영입했다. 현지 시장에서의 전략 수립과 글로벌 사업 운영 역량을 가진 이 CBO는 암과 정신질환 분야에서 정밀의료 실현을 목표로 하는 통합 플랫폼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2025-07-03 | TheBioNews
원문 보기
이엔셀, 57억원 규모 맞춤형 'AAV 유전자치료제' CDMO 수주…작년 매출比 80%
이엔셀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유전자 세포치료 전략연구단과 약 57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으며, AAV 유전자치료제 개발과 생산을 위한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2025-07-03 | TheBioNews
원문 보기
“스테로이드 안 통하면 끝?”…CAR-T 치료 환자들, '아나킨라' 절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CAR-T 치료의 중증 이상반응에 대응하기 위해 인터루킨-1 억제제 '아나킨라'의 긴급도입을 검토 중이며, 이는 CAR-T 치료로 인한 중증 면역 합병증에 대한 대응이 미비한 상황에서 발의되었다. 이에 CAR-T 치료의 클리니컬 케어를 위한 제도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뤄지고 있다.
2025-07-03 | Yakup
원문 보기
셀트리온 '다잘렉스 바이오시밀러', 미국 이어 한국서 3상 IND 승인
셀트리온의 다잘렉스 바이오시밀러 'CT-P44'가 3상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았으며, 2년간 486명을 대상으로 다잘렉스와 CT-P44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비교할 예정이다.
2025-07-03 | TheBioNews
원문 보기
루닛, AI 진단 솔루션 도입 의료기관 '글로벌 1만곳' 돌파
의료 인공지능 기업 루닛은 1만개 병원에 제품을 공급하며 도입기관이 2.2배 증가했고, 해외 고객이 90%를 차지한다. (출처: 더바이오)
2025-07-03 | TheBioNews
원문 보기
메디웨일, ‘닥터눈’ 중기부 혁신제품 지정…전국 공공의료기관 확산 본격화
메디웨일의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이 공공기관에 도입되는 길이 열렸다. '닥터눈 CVD'와 '닥터눈 펀더스'는 2025년까지 정부 및 공공기관과의 계약이 가능해진다.
2025-07-03 | TheBioNews
원문 보기
대웅제약, ‘스토보클로’로 골다공증 치료 패러다임 전환…‘약가·제품력’ 잡았다
대웅제약이 골다공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를 성공적으로 론칭하고, 심포지엄을 통해 시장 확대에 나섰다. 스토보클로는 치료 효과와 편의성을 높여 환자들에게 접근성을 제공하며, 약 13% 저렴한 가격으로 치료를 이어갈 수 있게 됐다.
2025-07-03 | TheBioNews
원문 보기
빅파마, BBB 셔틀 기술 '쟁탈전'…뇌질환 정복 플랫폼 경쟁 가속
글로벌 제약사들이 뇌혈관장벽(BBB)을 넘는 BBB 셔틀 기술을 이용한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CNS(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2025-07-03 | HitNews
원문 보기
미·중 바이오 패권 경쟁 "한국은 강력한 대안세력"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이 미국과 중국의 바이오헬스 산업 대전환에 뒤쳐질 위험과 기회를 안고 있다. 미국은 제조 자국 회귀와 관세 부과 등으로 변화 중이고, 중국은 신약 강국 전략으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한국 산업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2025-07-03 | HitNews
원문 보기
트럼프 發 관세 충격, 美 헬스케어 산업 새로운 생존 전략 도입
미국 정부의 해방의 날 관세가 의료기기와 디지털헬스 제품에 높은 관세 부과로 글로벌 헬스케어 업계에 충격을 주며 업계에 불확실성을 초래했고, 이에 대응하여 미국 헬스케어 업계가 새로운 생존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2025-07-03 | PharmNews
원문 보기
침습 간 생검 이제 그만! 만성 B형 간염 ‘간 섬유증’ 피 한 방울로 족하다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간 섬유증 단계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선별하고 불필요한 검사를 줄일 수 있게 됐다.
2025-07-03 | PharmNews
원문 보기
약국계 코스트코? 창고형 약국 두고 '갑론을박'
성남에 최근 등장한 '창고형 약국'에 대한 약사 사회와 소비자, 제약업계의 각종 의견 충돌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약사 직능의 공공성 훼손과 함께 약물 오남용, 위법적 요소 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며, 소비자들은 편의성 증대와 가격 비교 용이성 측면에서 주목하고 있습니다.
2025-07-03 | PharmNews
원문 보기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디티앤씨알오 효능평가센터에서는 안 질환에 특화된 비임상시험을 통해 치료제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소동물과 중동물 기반 동물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센터는 안 질환 치료 제개발을 위한 과학적 통찰과 정성을 통해 새로운 치료 가능성의 문을 열고 있습니다.
2025-07-03 | Yakup
원문 보기
[팜랭크] 코스피 3000선 돌파에도…힘 못 쓰는 제약바이오주
국내 제약바이오주의 주가 하락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대다수 기업들이 주가가 하락하면서 시가총액이 4조원 가량 증발했다. 반면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와 휴젤은 주가가 상승하며 호조를 보이고 있다.
2025-07-02 | PharmNews
원문 보기
옥지사(Oczyesa) EC 시판허가, 말단비대증 치료 방식 바꾼다
유럽연합 집행위가 피하 주사제 '옥지사'를 말단비대증 치료에 허가하면서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고, 자가 투여가 가능한 옥트레오타이드 제제로 승인되었습니다.
2025-07-02 | PharmNews
원문 보기
재즈, 유럽서 ‘지히라’ 조건부 승인…첫 HER2 양성 담도암 표적 치료제
지히라가 유럽에서 HER2 양성 담도암 치료제로 조건부 허가를 받았으며, 이는 의료 담당 기관 3곳에서 허가를 받은 첫 사례이다. 지히라는 HER2 양성 담도암 환자에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임상3상 임상도 진행 중이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사노피, 中 아다진에 340억 투자…CTLA-4 이중항체 ‘무자스토턱’ 공동 개발
사노피가 아다진에 최대 2500만달러를 투자하고 이중항체 후보물질인 '무자스토턱'을 개발 중인데, 세이프바디 플랫폼을 활용하여 MSS 대장암 환자 대상으로 임상1·2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에스티젠바이오, 글로벌 제약사와 46억원 규모 바이오의약품 CMO 계약
에스티젠바이오가 글로벌 제약사와 46억원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하여 매출액 대비 약 7.8%에 해당하는 계약을 성사시켰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HLB사이언스, 패혈증 치료제 후보 ‘DD-S052P’ 글로벌 임상1상 투약 완료
HLB사이언스가 'DD-S052P' 치료제 후보물질의 프랑스와 미국 임상1상 투약을 완료했고, 8월 말에 최종결과보고서를 수령할 예정이며, 이를 토대로 FDA에 임상2상 IND를 제출할 계획이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중증 아토피 치료제 ‘엡글리스’ 급여 출시…‘높은 비용·잦은 주사’ 부담 '뚝'
새로운 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제인 엡글리스가 급여 적용으로 환자 부담이 10%로 줄어들었으며, 월 1회 유지요법을 통해 장기간 치료 가능하다. 하지만 동일 계열 내 교체투여는 여전히 제외돼 있어 신약 접근성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한미약품, 내년 출시 목표 비만약 ‘에페글레나타이드’ 네이밍 공모전 개최
한미약품은 GLP-1 계열 비만 신약후보물질 '에페글레나타이드' 제품명 네이밍 공모전을 HMP 의사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이는 국내 최초 GLP-1 비만 치료제 브랜드명을 찾기 위한 것이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중국, 혁신 신약 R&D 부흥 나선다...‘카테고리 C’ 신설과 상업 건강보험 개편
중국 정부가 혁신 신약의 고품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16개 항목의 조치를 발표하여 바이오 제약 산업의 활성화를 모색 중이다. 신규 조치에는 고가 치료제에 대한 민간 보험 적용과 상업 건강보험 혁신 등이 포함돼 있어, 바이오 스타트업의 투자 환경이 개선될 전망이다.
2025-07-02 | PharmNews
원문 보기
삼성바이오에피스, 보령과 골질환 치료제 ‘엑스브릭’ 국내 판권 계약
삼성바이오에피스와 보령이 '엑스브릭' 바이오시밀러 국내 발매를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온베브지, 삼페넷에 이어 엑스브릭까지 확대된 국내 파트너십 제품군이며, 항암제 시장에서 긴밀한 협력을 구축하고 있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와이바이오로직스, ‘이중항체-사이토카인 융합체 제조 기술’ 국가 과제 선정
와이바이오로직스가 4년 6개월간 58억원을 받아, 차세대 면역항암제를 개발하는데 가속화한다. 이것은 PD-(L)1 항암제의 효능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을 중심으로 한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루닛, 마이크로소프트와 ‘의료 AI 솔루션’ 공동 개발…“빅테크 첫 협업”
루닛과 MS는 의료기관에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MS 클라우드를 활용하여 AI 솔루션 공동 개발하고, 의료 워크플로우 자동화 솔루션도 개발할 예정이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오스코텍, KB·미래에셋증권 출신 신동준 CFO 선임 “책임있는 재무전략 실행”
오스코텍이 전문경영인 신동준을 CFO로 영입하여 투명하고 합리적인 경영 체계를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모색하고 있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20년 만에 예방률 99.9% 결실 길리어드 '예스투고', HIV 감염 종식 가능해질까
미국 FDA가 길리어드사이언스의 새로운 HIV 예방요법 '예스투고'를 허가하면서 이 전략이 99.9%의 예방률을 가지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지역 사회 내 HIV 감염 종식을 가능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25-07-02 | PharmNews
원문 보기
인뮨바이오, ‘XPro’ 알츠하이머병 초기 환자서 인지·행동 개선 “긍정 데이터”
미국 바이오기업, 인뮨바이오가 엑스프로(AD 치료제 후보물질)의 임상2상에서 염증 바이오마커를 보유한 초기 AD 환자에 긍정적인 효과를 확보했으며, 치료 가능성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ApoE4 고위험군에서도 안전성 확인되었고, 새로운 AD 치료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2025-07-02 | TheBioNews
원문 보기
[2Q 꼭글뉴] GLP-1 비만 치료제, 경구·지속형 경쟁 2라운드
2025년 2분기에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이 다양한 면에서 성장을 이루고 알츠하이머병, 비만, 암 등 주요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이 등장하는 가운데,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 치료제 경쟁과 노바티스의 골관절염 치료제 개발 중단, 그리고 화이자의 중국 바이오기업과 PD-1×VEGF 이중항체 도입 등 다양한 소식이 있었습니다.
2025-07-02 | HitNews
원문 보기
국가 정책이 짱짱하게 뒷받침하는 중국 바이오 굴기(屈起)
2024년 중국이 의약품 시장에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위상을 공고히하며 바이오 기업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생산 기지를 넘어 글로벌 R&D 허브로 거듭나며, 글로벌 빅파마들이 중국 바이오 기업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바이오산업은 투자와 정부 정책 지원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5-07-02 | HitNews
원문 보기
“암 다음은 뇌”… 퇴행성 뇌질환 시대 여는 'BBB 셔틀', 에이비엘바이오가 주도할까
글로벌 빅파마들이 항암, 비만에 이어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데, 새로운 기술인 'BBB 셔틀 플랫폼'이 주목을 받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를 포함한 기업들이 BBB 셔틀을 활용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퇴행성 뇌질환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2025-07-02 | PharmNews
원문 보기
대장암 생존 기간 두 배 늘린 새 항암치료 등장
BRAF V600E 변이 전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EC+mFOLFOX6 병용요법이 생존 이점을 크게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연구는 NEJM에 발표되었으며, 새로운 치료 방향을 제시하여 환자들의 생존 기간을 늘릴 수 있다.
2025-07-02 | PharmNews
원문 보기
고혈압 약 매일 먹지 않는 시대 올까?
RNA 간섭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고혈압 치료제가 개발 중인데,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평가되며, 한두 차례 주사만으로 몇 달간 혈압을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이 현재 임상시험 후기 단계에 있다. RNAi 기술은 유전자 수준에서 질병의 원인을 차단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2025-07-02 | Yakup
원문 보기
"기술거래 부르는 ADC 따로 있다" 리가켐바이오, 플랫폼 중심 '빅딜' 전략 개시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CBDO 채제욱 부사장은 ADC 기술거래 시장이 플랫폼과 다수 파이프라인을 중시하는 추세로 변화했으며, 리가켐바이오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멀티 에셋 일괄 거래를 강조하고, 바이오베스트 전략과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기술이전 전략으로 글로벌 기술거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2025-07-02 | Yakup
원문 보기
무관심 속 스며든 COPD "후회는 늦다", 1조4000억 쓰고도 사망률 6위
한국에서 COPD 치료에 관한 정책 토론회가 열렸는데, 40대 인구 이상에서 매년 400만명이 COPD를 겪지만 실제 진료를 받는 경우는 단 5%에 불과하며, 치료비 부담은 폐암보다 크다는 지적이 있다.화기애애한 COPD 고위험군 치료 접근성을 향상시켜 사망률을 줄이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2025-07-01 | PharmNews
원문 보기
과중한 업무에 위험한 선택… 의사, 간호조무사에 백신 지시 ‘선고유예’
부산 소아청소년과의원 원장이 의사가 아닌 간호조무사에게 예방접종을 수행하도록 한 혐의로 재판을 받았지만, 법원이 의료법 위반을 인정하면서 형의 선고를 유예했다.
2025-07-01 | PharmNews
원문 보기
일본, 소아용 의약품 개발 확대...신약 승인 10건 중 3건이 소아 적응증
일본에서는 약사 제도 개편과 약가 인센티브 강화 등으로 소아용 의약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신약 승인 중 소아 적응증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 추세에 있다.
2025-07-01 | PharmNews
원문 보기
병원 중환자실 덮친 SFTS, 의료진 7명 집단 감염 터졌다
질병관리청이 청주 상급종합병원에서 의료진 7명의 SFTS 집단 감염을 확인하고, 감염 경로를 조사 중이다. 현재 감염된 7명은 증상이 완전히 소실된 상태이다.
2025-07-01 | PharmNews
원문 보기
리가켐바이오, 특허 만료 ADC에 ‘콘쥬올’ 붙인다…‘바이오 베스트 전략’ 첫 공개
리가켐바이오가 '바이오 베스트 항체약물접합체(ADC) 전략'을 발표하며, 특허 만료를 앞둔 ADC의 항체와 자체 개발한 링커 페이로드 플랫폼을 결합하여 '계열 내 최고 ADC'를 개발할 예정이다.
2025-07-01 | TheBioNews
원문 보기
카나프테라퓨틱스, 롯데바이오로직스와 ADC 기술 고도화 2차 공동 연구
카나프테라퓨틱스와 롯데바이오로직스가 '항체약물접합체(ADC) 기술 플랫폼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통해 소울플렉스 플랫폼을 향상시켜 글로벌 수주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2025-07-01 | TheBioNews
원문 보기
애브비, 캡스탄 2.8조원 인수…체내 mRNA CAR-T로 자가면역질환 정조준
애브비가 미국 바이오기업 캡스탄테라퓨틱스를 최대 3조원에 인수하여, 체내에서 바로 T세포를 재프로그래밍하는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 치료법은 기존의 CAR-T 치료제와 달리 환자의 T세포 조작·증식 과정이 필요 없는 '기성품' 치료제로,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2025-07-01 | TheBioNews
원문 보기
"재정, 접근성, 공급 균형잡는 우리가 약제관리실 어벤져스"
국민건강보험공단 약제관리실 4명의 팀장들이 약제 관련 협상을 통해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 가능성'과 '환자의 치료 접근성', '제약사의 공급 지속성'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데이터와 경험을 조합하여 정책을 설계하고 있으며, 약제실은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가진 인기 부서로 인력 확충과 현장 경험을 통한 정책 실행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025-07-01 | HitNews
원문 보기
세계 첫 GCG·GLP-1 이중작용 비만 치료제 등장
이노벤트-릴리의 '마즈두타이드'가 중국에서 세계 최초 GCG/GLP-1 이중작용 비만 신약으로 승인을 받았으며,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졌다.
2025-07-01 | Yakup
원문 보기
파로스아이바이오, ‘PHI-101’ 임상1상 최종 결과보고서 ORR 67% 기록
파로스아이바이오는 글로벌 임상1상 결과에 따라 차세대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PHI-101의 잠재력을 입증하고, 개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종합 완전관해 치료 응답률이 높게 나타나며, AI를 활용한 신약 플랫폼으로 처음으로 국내 최초 임상을 성공시켰다.
2025-07-01 | TheBioNews
원문 보기
"3년 내 20개" 김용주 대표, 리가켐바이오 ADC 승부수 띄웠다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가 'LigaChemBio Global R&D Day 2025'에서 2~3년 내 20개 이상의 신약을 개발하고 이 가운데 상당수는 임상 단계까지 진입할 예정이며,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페이로드를 탐색 중이다.
2025-07-01 | Yakup
원문 보기
씨엔알리서치, 유안타인베스트먼트와 손잡고 바이오 생태계 키운다
국내 바이오산업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유안타와 함께 400억원 규모 '부산미래기술혁신 펀드'를 결성한 씨엔알리서치는 CRO 중 단독 참여하며 유망 바이오 기업을 육성하고 신약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2025-07-01 | TheBioNews
원문 보기
삼성바이오에피스, 골다공증 치료제 ‘오보덴스’ 출시…한미약품과 공동 판매
한미약품과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공동 개발한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인 '오보덴스'가 오리지널 대비 13% 더 싸게 판매되며, 국내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2025-07-01 | TheBioNews
원문 보기
허치메드, ‘오파티스·타그리소’ 병용요법 MET 증폭 NSCLC 적응증 中 승인
허치메드가 아스트라제네카로부터 1100만달러의 마일스톤을 수령할 수 있는 중국 제약사 허치메드의 MET 표적항암제 '오파티스'가 타그리소와의 병용요법으로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승인을 받았으며, 임상3상 결과에 따르면 질병 진행 위험이 66% 감소하고 안전성이 입증되었다.
2025-07-01 | TheBioNews
원문 보기
[창간 특집] K바이오, 34조 기술수출 시대…플랫폼 넘어 ‘에셋’ 전성기 온다
한국 바이오기업이 3년 6개월 동안 34조원에 이르는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여 '기술수출 시대'를 여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특히 글로벌 빅파마와의 파트너십이 주목받고 있습니다.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플랫폼 중심 기술수출 모델과 'K에셋'의 주목을 받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2025-07-01 | TheBioNews
원문 보기
'약가·제조·규제'에 관세까지… 예측 불가 트럼프발 올코트 프레싱
글로벌 바이오 산업에서 미국과 중국이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은 기술력과 자본 부족으로 위기와 기회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제조·약가·규제를 개편하며 산업 헤게모니를 강화하고, 중국은 기술 수출과 신약 개발을 통해 글로벌 영향력을 넓히고 있습니다. 한편, 글로벌 약가 규제와 FDA 관련한 변화로 바이오업계가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2025-07-01 | HitNews
원문 보기
프랑스 스킨케어 시장, 천연 성분과 K-뷰티의 부상
프랑스 스킨케어 시장은 2024년에 4% 성장하여 약 37억7500만 유로로 이전보다 성장했는데, 특히 프리미엄 제품과 약국 유통의 피부과용 코스메틱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K-뷰티 제품 중 콜라겐 마스크팩이 프랑스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2025-07-01 | PharmNews
원문 보기
동성제약, 회생 속 구조조정 본격화…경영정상화 시동 거는 나원균 대표
동성제약이 경영난을 겪어 회생절차를 거쳐 정상화에 나선다. 경영권 분쟁과 횡령 고소전 등 법적 공방으로 혼란해지고 있으며, 회생을 위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2025-07-01 | PharmNews
원문 보기
희귀질환 중증 근무력증에 대한 FcRn 억제제 신약
희귀질환 중증 근무력증에 대한 새로운 약물 이마비가 올해 미국 FDA 승인을 받았다. 이마비는 FcRn을 억제하여 중증 근무력증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로, 앞으로 다른 자가면역질환에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5-07-01 | PharmNews
원문 보기
희귀 피부암 ‘균상식육종’, 법원은 ‘암’으로 인정해
부산지방법원이 균상식육종 환자의 보험금 지급을 명령했다. 보험사는 이 질환이 암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주장에도 법원은 환자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2025-07-01 | PharmNews
원문 보기
대한약사회 '통합돌봄'에서 약사 참여 근거 명문화 총력 나선다
대한약사회가 '돌봄통합지원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에 대한 의견서를 제출하며 약사의 제도적 참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돌봄서비스 내 '약료관리' 항목을 구체화하고 통합돌봄의 제도적 참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2025-07-01 | PharmNews
원문 보기
"골형성 촉진·골흡수 억제가 글로벌 기준, 골다공증 초고위험군 골절 막고 재정도 아껴"
영국의 골다공증 전문가 유진 맥클로스키 교수가 한국을 방문하여 골다공증 관련 연구와 치료 전략을 소개하였다. 그는 골절 초고위험군에게 골형성 촉진제를 1차 치료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렇게 함으로써 골다공증과 관련된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5-06-30 | PharmNews
원문 보기
에스티팜, 美 바이오텍 2곳과 249억 규모 올리고핵산 원료의약품 공급계약
에스티팜이 미국 바이오텍과 1825만달러 규모의 올리고핵산 치료제 원료의약품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상반기 누적 수주 잔고는 4434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91.1% 증가했다.
2025-06-30 | TheBioNews
원문 보기
스웨덴 소비, MAS 치료제 ‘가미판트’ 美 FDA 승인…‘스틸병’ 적응증 첫 허가
스웨덴 제약사 소비(Sobi)의 인터페론 감마(IFNγ) 억제제 '가미판트'가 미국 FDA로 MAS(대식세포활성화증후군) 치료제로 승인되었으며, 환자들 중 8주 완전 관해율은 54%, 임상적 관해율은 82%에 달했다.
2025-06-30 | TheBioNews
원문 보기
이노벤트, 세계 최초 GCG·GLP-1 이중작용 비만약 ‘마즈두타이드’ 中 승인
중국에서 개발된 새로운 비만 치료제 '마즈두타이드'가 최대 14.8%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여주며 NMPA로부터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 약물은 신종 이중작용 기반 치료제로, 대사 개선과 체중 감량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여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2025-06-30 | TheBioNews
원문 보기
누발런트, ROS1 억제제 ‘지데삼티닙’ TKI 전처치 폐암 ORR 44%…3Q NDA
미국 바이오기업 누발런트는 ROS1 억제제 후보물질 '지데삼티닙'의 임상 데이터를 공개하며, ROS1 양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에 대한 효과를 확인했다. 지더삼티닙은 내성 돌연변이 환자와 뇌전이 환자에도 효과적이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약 허가 신청을 위해 오는 7월부터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2025-06-30 | TheBioNews
원문 보기
[단독] AI 신약개발 선봉 인실리코 대표 "우린 환자 임상데이터로 입증하는 단계"
인실리코메디슨의 창립자인 알렉스 자보론코프 대표가 보스턴에서 개최된 'BIO USA 2025'에서 AI 기반 신약개발 성과를 소개하며, 특히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인 렌토서티브의 임상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AI가 설계한 분자가 실제 환자들에게 치료 효과를 보인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
2025-06-30 | HitNews
원문 보기
메드팩토,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1b상 중간 결과 36.4% ‘부분관해’ 보여
메드팩토가 발표한 자사의 항암제 후보물질 '백토서팁'의 중간 임상 결과에 따르면, 기존 치료제보다 3배 높은 부분관해(PR)율을 보였다. 이로써 골육종 환자 치료에서 새로운 희망이 열리게 됐다.
2025-06-30 | TheBioNews
원문 보기
C&C신약연구소, ‘STAT6 타깃 호산구성 식도염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C&C신약연구소가 STAT6를 타깃으로 하는 호산구성 식도염 치료제 개발을 위해 국책과제에 선정됐다. 이 연구를 통해 제2형 염증성 면역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5-06-30 | TheBioNews
원문 보기
대웅제약, 골 재생 유도 단백질 ‘BMP-2’ 원료의약품 韓 허가 획득…국내 최초
대웅제약이 대장균을 이용한 BMP-2 단백질 생산 기술력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골 재생 솔루션을 개발해, 의약품 허가를 획득했으며, 이를 통해 국내 및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2025-06-30 | TheBioNews
원문 보기
SK바이오사이언스, 안동 폐렴구균 백신 생산시설 준공식…사노피도 참석
SK바이오사이언스와 사노피가 공동으로 개발 중인 21가 폐렴구균 백신 후보물질 'GBP410'을 위한 대규모 생산시설을 확보했으며, 양사 간의 협력 관계를 재확인했다. 전 세계적인 폐렴구균 백신 시장에서 글로벌 출시를 목표로 양사는 협력을 강화하고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
2025-06-30 | TheBioNews
원문 보기
“GLP-1 혁명이 바꾼 판도”… 2030년 글로벌 처방약 시장, 릴리가 주도한다
2030년에 글로벌 처방약 시장이 급성장하여 GLP-1 계열 약물이 중심으로 구조적 재편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일라이 릴리가 매출 기준으로 1위로 도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06-30 | PharmNews
원문 보기
미·중 바이오 패권 전쟁, 격화되는 주도권 다툼 속 한국의 기회는?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두 나라는 바이오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은 바이오 강국으로, 중국은 후발주자지만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 바이오 기업은 이러한 패권 경쟁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다.
2025-06-30 | PharmNews
원문 보기
‘홈뷰티 대륙을 흔든다’…급성장하는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
중국의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급격한 성장과 함께 규제 강화에 대한 새로운 도전이 다가오고 있다. 해당 시장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Z세대와 여성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전례 없는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중국 로컬 브랜드의 기술력 향상으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2025-06-30 | PharmNews
원문 보기
ADHD 약물 효과, 처방 늘자 일부 ‘약화’ 확인됐다
ADHD 치료제 처방은 증가했지만, 그 효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약해지고 있음을 스웨덴 연구가 보여주었다. 약물 복용 시 자해, 사고, 범죄 등의 발생률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나, 15년 동안 이러한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줄어드는 추세도 나타났다.
2025-06-30 | PharmNews
원문 보기
"AI·빅데이터로 탈모 끝장낸다" 에피바이오텍 ‘Hair.I' 플랫폼 성과 '속속'
에피바이오텍이 'Hair.I' 데이터 기반 탈모 치료 플랫폼을 소개하며, 탈모 치료의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세포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유전자 기반 치료제를 개발하며, CXCL12 항체와 약물 재창출에도 주력하고 있다.
2025-06-30 | Yakup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