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BioBrief

9월 4주차 뉴스

보험 사각지대 놓인 VHL 환자들의 '웰리렉 딜레마'
희귀질환인 폰 히펠-린다우 증후군(VHL)을 앓는 환자들이 치료제 '웰리렉'의 높은 약값과 어려움을 고발하였으며, VHL은 여러 장기에서 동시다발적인 종양 발생이 일어나며, 웰리렉은 유일한 치료제로 입증됐으나 경제적 부담으로 약 복용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5-09-28 | HitNews
원문 보기
트럼프, 의약품 고율 관세 예고했지만 디테일은 '안갯속'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약품에 100%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제약업계가 불안해하고 있는데, 세부 내용은 불명확하며 최혜국 약가 협상과 미국 내 제조 투자 압박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2025-09-28 | HitNews
원문 보기
화이자, ESMO서 종양학 임상 데이터 45건 발표…암 치료 표준 재정립 노린다
화이자는 ESMO 2025에서 '파드셉+키트루다' 병용의 근육침윤성 방광암 치료 효과를 입증하고, 다양한 암종에 대한 새로운 치료 표준을 제시할 예정이다.
2025-09-28 | TheBioNews
원문 보기
킴리아 이후 DLBCL 치료제 출격대기...급여권 진입이 관건
국내에서 치료 혜택을 받는 DLBCL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데, CAR-T 치료제 및 이중항체 신약이 국내 허가와 급여를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특히 CAR-T 2세대 치료제 예스카타와 이중항체 치료제 엡킨리, 컬럼비의 국내 급여와 허가가 추진 중이며, DLBCL 환자의 생존기간 연장을 통해 완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09-26 | PharmNews
원문 보기
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ADC’ 개발 전담 美 자회사에 420억원 출자”
에이비엘바이오가 미국 자회사 네옥바이오에 84억원과 336억원을 투자하여 이중항체 ADC 임상 및 R&D를 강화한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바이오노트, 씨티씨바이오 최대주주 ‘파마리서치’ 보유 지분 50% 219억 인수
바이오노트가 CTC바이오에 대한 경영 효율성 제고 및 책임 경영 강화를 위해 파마리서치의 50% 지분을 인수하는 결정을 했다. 이를 통해 씨티씨바이오는 바이오노트 중심의 단독 경영 체제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측만증 보조기 ‘스파이나믹’ 제조사 VNTC, 美 이노비스와 글로벌 유통 계약
한국 의료기기 기업 VNTC가 이노비스와 척추측만증 교정 용 보조기 '스파이나믹'의 글로벌 독점 유통 계약을 체결했으며, 계약 기간은 6년이며 최대 9년까지 연장 가능하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일라이릴리, ESR1 변이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인루리요’ 美 FDA 시판 승인
릴리가 미국 FDA로부터 유방암 신약 '인루리요' 시판 승인을 받았는데, 이 신약은 ESR1 변이를 가진 유방암 환자들에게 내분비 치료 대안으로 38%의 질환 진행·사망 위험 감소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신약은 하루 1번 경구로 복용 가능하며, 약 8000명을 대상으로 보조요법 효과를 검증하는 EMBER-4 임상도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릴리, ‘키순라’ 유럽서 시판 허가…초기 환자 대상 인지·기능 저하 지연 확인
미국 허가를 받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키순라'가 유럽서도 승인되며,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임상 결과가 확인됐다. 일부 신경세포를 제거한 뒤 인지 기능을 지원하나, 부작용 가능성도 있으며, 미·일은 ApoE4 관계 없이 사용가능하나, 유럽은 이형접합자와 비보유자에 한해 허용된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MSD, 옵션 행사로 8500억에 덴마크 에박시온서 AI 발굴 백신 ‘EVX-B3’ 도입
MSD와 덴마크 바이오기업인 에박시온 간의 계약을 통해 AI 플랫폼에서 발굴한 백신 후보물질 'EVX-B3'의 권리를 확보하며, 최대 5억9200만달러의 마일스톤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통해 글로벌 백신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양사의 전략적 협력을 확대한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서울대로 돌아온 리가켐 김용주 대표…"ADC, 중국이 미국 앞섰다"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김용주 대표가 40년 넘는 신약 발굴 여정과 중국의 바이오텍 발전에 대해 강조했다. 김 대표는 ADC 개발을 통한 글로벌 협업을 중시하며, 백업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025-09-26 | Yakup
원문 보기
아이빔테크놀로지, AI 기반 생체이미징 통합 플랫폼 구축 본격화
아이빔테크놀로지가 인비보큐 및 진메디신과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자이메디와 KBSI와도 각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전략적인 협력을 통해 신약 개발 및 AI 기술 강화에 주력하고, 혁신적인 융복합 플랫폼을 구축하여 연구 효율성과 기술 발전을 이루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오스코텍,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국제 학술대회 참가…‘항내성 치료법’ 발표
오스코텍이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제주에서 진행되는 KSMCB 2025에 참가하며, 10월 1일 세션에서 '암 치료 내성 극복'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한미약품, 국제 학술대회서 SOS1-KRAS 상호작용 저해제 구두 발표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신약 'HM101207'은 KRAS 변이 암종을 타깃으로 하는데, 항종양 효력이 우수하다고 한다. 이 신약은 KRAS 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저해제로서 암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닥터노아바이오텍, 美 코넬대 연구팀과 희귀질환 ‘EDMD’ 치료제 공동 연구
닥터노아바이오텍은 세포핵 역학 연구 분야 세계적 권위자 람머딩 교수와 협력하여 유전성 근이영양증 치료제 연구에 착수했다. 이 협력은 AI 기술과 전문성이 결합된 새로운 치료옵션 발굴을 기대하고 있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2025 KDDF CPG 심포지엄’ 성료···국내 신약 개발기업, 글로벌 협력 모색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최한 '2025 KDDF Co-Development & Partnership for Globalization Symposium'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고,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 및 유관기관 관계자 450여명이 참석하여 1:1 파트너링을 통해 380건의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하며 글로벌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2025-09-26 | TheBioNews
원문 보기
탄산음료, 여성 우울증 유발 요인 지적...장내 특정 세균이 열쇠
탄산음료 섭취가 우울증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여성에게 민감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독일 다기관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2025-09-26 | PharmNews
원문 보기
마당에 핀 동양의 발레리안...마타리의 향기와 진정의 과학
이용섭 교수 자택의 수돗가에서 알 수 없는 식물이 자라, 3년 뒤 뜻밖의 마타리(Patrinia scabiosaefolia) 꽃을 피웠다. 이 마타리는 진정 작용이 있는데, 냄새 성분은 쥐오줌풀과 비슷하지만, 효과는 다른 세스퀴테륜 계열 화합물에서 나타난다고 한다.
2025-09-26 | PharmNews
원문 보기
큐라클, 신장질환 파이프라인 확장…인수 공통 약물 기대
큐라클이 신장질환 영역에 연구·개발 확대하고, 신장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2025-09-26 | PharmNews
원문 보기
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연구원 출범…초대 원장에 표준희 박사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AI신약연구원을 출범했는데, 표준희 원장이 임명됐고 AI 기반 신약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2025-09-26 | PharmNews
원문 보기
신개념 '옵티마 웰니스 뮤지엄' 약국...대형약국 패러다임 변화 리딩
창고형 대형약국 확산으로 약사의 전문성 약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최근 오픈한 '옵티마 웰니스 뮤지엄 약국'은 약국을 '건강 관리 플랫폼'으로 재정의하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OWM 약국은 약사의 상담과 맞춤형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존 대형 약국과 차별화되고 있습니다.
2025-09-25 | PharmNews
원문 보기
박용민 LG AI연구원 사업개발팀장 “AI 임상 현장 도입, 빅파마 회의론도 존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창립 80주년 기념 ‘AI Pharma Korea’ 콘퍼런스에서 LG AI연구원이 AI 모델의 현실적인 활용과 한계를 언급하며, 특정 영역에서 정확히 작동하는 솔루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中 항서제약, 印 글렌마크와 HER2 표적 ADC 글로벌 라이선스…총 1.5조 규모
중국의 항서제약과 인도의 글렌마크가 항체약물접합체 'SHR-A1811'의 전 세계 개발 및 상업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으며, 글렌마크는 총 11억1100만달러의 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이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에자이, 닥터레디스와 ‘렌비마’ 제네릭 특허소송 합의…美 출시는 2030년 7월
에자이는 경구용 항암제 '렌비마'의 미국 특허 소송에서 제네릭 업체와 합의해 2030년 7월 1일 이후 출시를 제한하게 되었으며, 닥터레디스와의 소송도 해결했다. 실파메디케어는 소송에서 패배하고 2036년 이후에만 제네릭 출시 가능하며, 토렌트와의 소송도 진행 중이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석차옥 교수 “세분화된 과학, AI가 다시 융합한다…AI, 신약 개발 새 패러다임”
갤럭시 대표 석차옥은 'AI Pharma Korea' 콘퍼런스에서 드노보 항체 발굴에 성공하며 AI 신약 연구 분야에서 선도하는 최고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쓰리빌리언, 카자흐스탄 최대 유전체 전문 의료기관과 희귀질환 진단 협력
쓰리빌리언과 카자흐스탄의 분자의학센터가 협약을 통해 AI 기반 유전체 진단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중앙아시아에서 희귀질환 진단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시장 확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결절성 양진서 유일한 치료제 듀피젠트, 급여화 필요
결절성 양진 환자인 A씨는 극심한 가려움증으로 고통을 겪고, 현재 치료제인 듀피젠트는 비급여로 인해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이 어렵다는 뉴스입니다.
2025-09-25 | PharmNews
원문 보기
HLB이노베이션 “베리스모, 밀테니와 고형암 CAR-T 임상2상 준비 가속”
HLB이노베이션의 자회사 베리스모는 밀테니 바이오인더스트리의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하여 임상용 CAR-T 치료제 후보물질인 'SynKIR-110'의 생산에 성공적으로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루닛, 글로벌 CRO와 ‘AI 바이오마커 임상 도입’ 파트너십…‘루닛 스코프’ 활용
캐나다의 CRO 기업 셀카르타와 루닛이 전 세계 연구시설을 보유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제약사들이 AI 기반 바이오마커 분석을 보다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아리바이오, 세계신경과학회서 치매 신약 후보 ‘AR1001’ 연구성과 2편 발표
아리바이오는 2025 세계신경과학회에서 AR1001의 뇌손상 보호 효과 및 바이오마커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며, 이는 알츠하이머병 및 외상성 뇌 손상 치료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한미약품, ‘아모프렐’ 유럽심장학회서 주목…심혈관질환 연구 성과 공개
한미약품이 유럽심장학회(ESC)에 참가하여 심혈관분야 관련 성과를 발표했는데, 이를 통해 심혈관질환 관리와 외래약의 성과에 주목받았습니다. 한미는 고혈압 약물 '아모프렐'과 '아모잘탄엑스큐'의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했으며, 한국인 초고위험군의 잔여 콜레스테롤 관리 기준도 제시했습니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셀트리온, 골질환 치료제 ‘스토보클로-오센벨트’ 캐나다 허가 획득
셀트리온이 캐나다에서 골질환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오센벨트'에 품목허가를 획득하고 북미 시장을 공략한다. 해당 제품은 캐나다에서의 모든 적응증으로 처방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데노수맙 시장을 확대하고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넬마스토바트’, 임상과 기술이전 동시에” 에스티큐브, 바이오마커 ‘승부수’
에스티큐브가 개발 중인 신약 '넬마스토바트'의 대장암과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중간 결과가 공개되며, BTN1A1 타깃 관련 기술 및 치료법 확대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2025-09-25 | TheBioNews
원문 보기
임상 속도전 돌입한 MASH 신약… 국내외 경쟁도 격화
로슈와 GSK가 수억 달러를 투자하여 FGF21 관련 제품을 개발하는 가운데, 한미약품과 디앤디파마텍은 GLP-1/GCG를 통해 경쟁에 합류했다. MASH 치료제 시장에서는 간과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FGF21을 활용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2025-09-25 | HitNews
원문 보기
지하철 1호선, 희망을 품은 전철
숙명여자대학교 이충우 교수가 한국 최초의 지하철인 1호선과 이를 통해 나타나는 고령층의 다양한 모습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특히, 1호선과 관련된 탑골공원의 역사와 미래적인 변모에 대해 다룹니다.
2025-09-25 | PharmNews
원문 보기
비대면 진료 법제화 ‘숨고르기’, 환자 권익·미래 의료 법안은 ‘성큼’
국회에서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 논의가 실패로 결렬되었으나, 환자 권익 보호와 미래 의료 산업 발전을 위한 법안은 속도를 내고 있다.
2025-09-25 | PharmNews
원문 보기
혁신신약 보장성 강화와 제네릭 약가 삭감 논쟁 재점화
서울대병원 교수인 권용진은 국내에서 혁신신약이 늦게 도입되는 이유는 제네릭 약 때문이라고 주장했으며, 제네릭 가격 인하와 처방량 감소를 통해 건강보험 보장 방향을 변경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2025-09-24 | PharmNews
원문 보기
580억원 베팅 받은 일리미스테라퓨틱스, 'ILM01' 임상 진입 카운트다운 시작
일리미스테라퓨틱스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ILM01'의 전임상에 본격 착수하며, 새로운 치료 기대를 이야기했다. 회사는 최근 시리즈B 라운드를 통해 580억원을 유치하며 관심을 집중시켰고, 2027년 상반기까지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5-09-24 | Yakup
원문 보기
MSD, 加 ‘베어리에이셔널AI’와 최대 4900억원 규모 생성형 AI 신약 개발 협력
MSD가 베어리에이셔널AI와 협력하여 AI를 활용한 저분자 치료제 개발에 착수하며 최대 4900억원의 규모로 계약이 이루어졌다. MSD는 Enki 플랫폼을 통해 독점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약 후보물질을 설계하고 최적화할 예정이다.
2025-09-24 | TheBioNews
원문 보기
FDA, 바이오젠 ‘스핀라자’ 고용량 요법에 CRL…임상 데이터 결함 지적 없어
바이오젠이 FDA로부터 스핀라자 고용량 요법에 대한 보완요구서(CRL)를 받았으나 일본승인 및 글로벌 심사 진행은 지속되며, 블록버스터 제품 스핀라자의 매출은 증가추세에 있다.
2025-09-24 | TheBioNews
원문 보기
앱클론, 차세대 CAR-T 치료제 후보 ‘네스페셀’ 식약처 ‘신속처리대상’ 지정
앱클론의 CAR-T 치료제 후보물질 '네스페셀'이 식약처의 '첨단 바이오의약품 신속처리대상'으로 지정되어, 품목허가 단축이 가능해졌다. 2026년까지 품목허가를 목표로 개발 중인 네스페셀은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질환의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2025-09-24 | TheBioNews
원문 보기
탑티어 유한양행이 전하는 라이선스 아웃 잭팟 핵심 포인트는?
유한양행이 렉라자를 미국에 기술수출해 FDA 승인을 받아 국산 항암제 역사상 최초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를 통해 라이선싱 아웃의 핵심 포인트를 공개하여 국내 바이오텍과 스타트업 제약사에 협력의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2025-09-24 | PharmNews
원문 보기
샤페론, 원형 탈모 치료 후보물질 ‘SH1010337’ 모발 성장 촉진 확인
샤페론이 유럽피부과학회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원형 탈모 치료제 후보물질 'SH1010337'은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확인했으며, 치료 효능이 기존 약물보다 우수하다고 밝혀졌다. 이는 원형 탈모 치료에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2025-09-24 | TheBioNews
원문 보기
샤페론,GPCR표적 원형탈모 치료제 전임상서 ‘모발성장 촉진’ 확인
샤페론이 AI 기반으로 개발한 원형탈모 치료제 'SH1010337'이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치열한 탈모 치료제 개발 경쟁 속에서 중요한 성과로 평가되며, 향후 자가 면역질환 치료 옵션으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2025-09-24 | Yakup
원문 보기
삼성메디슨, 차세대 이미징 플랫폼 탑재 영상의학과 프리미엄 진단기기 출시
삼성메디슨이 자체 기술인 '2세대 소프트웨어 빔포밍'과 '3rd Harmonic'을 활용한 프리미엄 초음파 진단기 'R20'을 공개했다. 이로 인해 진단 효율이 극대화되었으며, 새로운 차원의 진단 정확도를 제공하는 기능이 탑재되었다.
2025-09-24 | TheBioNews
원문 보기
바이엘 자회사 ‘블루락’, 파킨슨병 후보약 ‘벰다네프로셀’ 3상 첫 환자 투여
바이엘의 자회사 블루락테라퓨틱스가 개발한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벰다네프로셀'의 임상3상 투여가 시작되었으며, 10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용 약효 시간을 확인하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
2025-09-24 | TheBioNews
원문 보기
국내 DLBCL 치료 혜택, 선진국과 격차 커...암질심 역할론 도마 위
김석진 대한혈액학회 이사장은 국내 DLBCL 치료 현실이 세계 수준과 많이 떨어진 것으로 지적하며, CAR-T 세포치료제의 급여 적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2025-09-24 | PharmNews
원문 보기
우리가 알아야 할 희귀유전질환, GNE근육병…"제도·재정 지원 절실"
한국GNE근육병환우회 강태은 회장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6회 희귀유전질환 심포지엄’에서 딸과의 약속을 전하며 GNE근육병 환자들의 어려움을 솔직히 알렸다.환우회는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치료제 개발을 위한 희망의 불씨를 키우고 있다.
2025-09-24 | Yakup
원문 보기
약국 환자안전사고 통계 내보니…처방 오류가 85%
2024년 대한약사회 보고에 따르면 약국 환자안전사고 중 8.5건이 '처방 오류'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77.5%가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2025-09-23 | PharmNews
원문 보기
11년 투병 환자 이송사고 사망… 법원 “수술 과실 없지만 상해는 책임”
뇌동맥류 수술 후 이송 중 사고로 사망한 환자 사건에서 법원이 병원 책임 부분 인정하고, 위자료 1,500만 원 배상 판결. (출처: 팜뉴스)
2025-09-23 | PharmNews
원문 보기
FDA, 오츠카·룬드벡 ‘렉설티’ PTSD 확대 승인 불가…자문위 “반대 10대 1”
FDA가 오츠카와 룬드벡이 개발한 항정신병 치료제 '렉설티(Rexulti)'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적응증 확대 신청을 거부했으며, 임상 결과 불일치와 근거 부족을 지적했다. 오츠카는 CRL을 검토한 후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화이자 “2028~29년부터 맷세라 파이프라인 출시…특허 만료 후 성장 가속”
화이자가 미국 바이오기업 멧세라를 인수하여 비만 치료제 인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는 전략을 밝혔습니다. 이 포트폴리오는 2028~2029년부터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MET-097i와 MET-233i를 기반으로 월 1회 병용 치료제를 개발 중입니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트럼프, 임산부 타이레놀 복용 경고...전문가들 "근거부족" 반발
트럼프 대통령, 자폐 스펙트럼 장애 대응과 관련해 경고와 FDA 승인 발표. 전문가들의 근거 부족 반박에도 논란 이어져.
2025-09-23 | PharmNews
원문 보기
펩트론, 1개월 지속형 성조숙증 치료제 ‘루프원’ 국내 출시 임박
펩트론이 1개월 지속형 중추성 사춘기 조발증 치료제 '루프원'을 스마트데포 기술로 개발했으며, 투여는 월 1회로 통증 최소화로 치료 편의성을 더한 제품이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바이오의약품 허가, 비용·기간·특례 한눈에...로드맵 공개
한국 국내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규제 로드맵이 공개되었다. 권오석 식품의약품안전처 유전자재조합의약품과 보건연구관이 희귀유전질환심포지엄에서 바이오의약품 규제 절차와 요건에 대해 발표했다.
2025-09-23 | Yakup
원문 보기
“트렌드 따라가선 생존 못한다”…한국 바이오텍, 위기 속 생존 방정식은
23일 웨스틴조선 서울호텔에서 개최된 'KDDF CGP 심포지엄'은 한국 바이오테크 벤처 기업들의 성과와 미래 전망에 대한 토론이 열렸습니다. 주요 참가 기업인 에이비엘바이오, 리가켐바이오, 알테오젠은 현실적인 리스크 관리와 미래 트렌드 파악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대체조제, 환자 반응 우호적…약국 현장은 '부담' 호소
대한약사회가 패널약국을 통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대체조제에 대한 환자들의 긍정적 인식이 확인되었으나 일선 약국 현장에서는 의료기관의 비협조로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2025-09-23 | PharmNews
원문 보기
보건산업진흥원, K-BIC 지원기업 ‘레디큐어’ 투자 유치·연구과제 선정 ‘성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성장하고 있는 레디큐어가 Pre-A 투자 유치와 중소벤처기업부 과제 선정을 통해 치매 치료 의료기기 '헬락슨(HeLaXON)' 개발을 가속화하고, 2025 KHF 혁신상을 수상했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메드팩토,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2상 첫 환자 등록
메드팩토가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백토서팁'의 골육종 임상2상 첫 환자 등록을 완료했으며, 11월에 후속 데이터를 SITC와 바이오유럽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티루캡’ 韓 허가 1주년…정밀의료 유방암 치료 전환점
한국아스트라제네카가 티루캡을 이용한 유방암 맞춤형 치료전략을 강조하며, PIK3CA 변이를 가진 환자들을 타깃으로 한 치료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HLB그룹,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젝트 ‘2025 HLB NEW WAVE’ 출범
HLB그룹이 '2025 HLB NEW WAVE'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유망 바이오기업과의 협력 생태계를 구축하고, 신약 개발 파트너를 발굴하는 행사를 개최한다. 서류 접수는 10월 13일까지이며, 최종 선정된 기업들은 자금 및 기술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티씨노-리가켐바이오, 신규 면역항암제·차세대 ADC 페이로드 개발 공동연구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와 리가켐바이오의 협력으로 새로운 암 치료 옵션을 개발하고, 수익은 계약에 따라 분배될 예정이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박영민 단장 "KDDF 미션, 숫자 아닌 글로벌 파트너십 통한 실질적 성과 도출"
KDDF는 한국 바이오텍 기업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촉진하는 심포지엄을 열었고, 박영민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단장은 한국 바이오텍의 글로벌 진출을 돕기 위한 노력을 강조했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한미약품, EASD서 근육 증가형 비만신약 후보 공개…글로벌 ‘게임체인저’
한미약품이 CRF2 수용체 타깃 'HM17321'을 통해 세계 최초의 근육 증가 기전을 규명하고, 비만 영장류에 대한 체지방 감량 재현을 성공적으로 보여냈습니다. 'HM101460'과 'HM15275'를 포함한 한미약품의 비만신약 후보물질들이 새로운 비만 치료제 시장을 열어나가고 있습니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젬백스, 진행성 핵상마비 2상 연장 국내 임상 투약 완료…글로벌 3상 구체화
젬백스는 PSP 치료제 후보물질인 'GV1001'을 통한 18개월의 장기 임상시험을 완료했고, 67명의 환자가 참여한 연장 임상시험 결과를 분석 중이며, 글로벌 임상3상 진행을 위한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2025-09-23 | TheBioNews
원문 보기
화이자, '멧세라' 인수... 디앤디파마텍 기술이전 파이프라인도 주목
화이자가 비만 및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사 멧세라를 주당 47.50달러에 인수하기로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디앤디파마텍도 멧세라에서 기술이전을 받아 주목을 받고 있으며, 화이자는 향후 멧세라에 최대 주당 22.50달러를 추가 지불할 예정이다.
2025-09-23 | HitNews
원문 보기
'신약 벤처는 가슴을 친다'... "식약처는 왜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지연하나"
한국에서는 임상시험 승인 지연이 전문가들에 의해 경쟁력 하락의 핵심 요인으로 지적되며, 규제가 너무 보수적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한편 중국과 덴마크는 임상시험 승인 기한을 단축하는 등 더 유연한 절차를 채택하고 있다.
2025-09-23 | HitNews
원문 보기
‘시한부 병원’ 옆 약국 팔았다가 권리금 70% 물어내
약국 인수과정에서 인접 병원이 형사 수사를 받고 있었다는 사실을 숨긴 채 양도 계약을 맺은 사건에서 법원이 권리금 일부 반환을 명령했다. 법원은 약국을 넘긴 D씨가 중요한 사실을 숨겼다며 상대방을 속인 것으로 판단했고, 반환할 권리금 금액은 남은 운영 기간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2025-09-23 | PharmNews
원문 보기
AZ 파센라, COPD 적응증 확대 실패...새 기전 약물 개발로 선회
아스트라제네카의 파센라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적응증 확대에 실패하여 다른 방향으로의 전환을 계획 중이다. 결과적으로 파센라가 COPD 환자에게 효과적이지 않음이 밝혀졌다.
2025-09-23 | PharmNews
원문 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의무화 의료법 개정안 적극 지지
대한약사회가 수급불안정 의약품에 대한 성분명 처방을 의무화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적극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국민에게 안정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강조되고 있습니다.
2025-09-23 | PharmNews
원문 보기
“함께 파브리병 극복할 기업 찾습니다” KAIST 연구진, ‘파수딜’ 치료제로 제시
KAIST 의과학대학원 한용만 교수가 '제6회 희귀유전질환 심포지엄'에서 파브리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인 파수딜을 소개했다. 이 연구를 통해 파수딜이 손상된 혈관·심장·신장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확인됐으며, 파브리병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대안으로 나타날 수 있다.
2025-09-23 | Yakup
원문 보기
"희귀유전질환 환우들의 용기가 임상 성과와 제품화로 결실 맺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신진홍 교수가 '제6회 희귀유전질환 심포지엄'에서 희귀유전질환 극복을 위한 새로운 흐름을 발표했다. 국내에서도 환자들의 참여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이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산업적 가치 창출이 가능함을 강조했다.
2025-09-23 | Yakup
원문 보기
화이자, 美 비만약 개발사 '멧세라' 최대 '10조원' 인수
화이자가 미국 바이오기업 멧세라를 최대 10조원에 인수한다. 이번 인수를 통해 화이자는 비만 및 심혈관 대사질환 치료를 위한 차세대 의약품을 개발 중인 멧세라의 주요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게 된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기획] 반지형 A.I 커프리스 활동혈압계, 고혈압 관리 패러다임 전환
국내 고혈압 관리에 새로운 표준 도구로 주목받는 카트비피 프로가 보험 급여 1주년을 맞았는데, 이 기기는 환자의 실제 혈압 변화를 정밀히 모니터링할 수 있어 의료 현장에서 확대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5-09-22 | PharmNews
원문 보기
J&J, ‘트렘피어SC’ 궤양성 대장염 美 승인…IL-23 억제제 최초 자가투여 요법
J&J의 IL-23 억제제 '트렘피어'가 대장염 치료에 효과적임이 임상3상 결과에서 입증되었으며, 피하주사로 환자가 편리하게 자가투여할 수 있다고 보도되었습니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MSD, 영아 RSV 예방제 ‘엔플론시아’ EU 승인 권고…유럽 최초 단일 용량 기대
MSD가 유럽에서 RSV 예방제 '엔플론시아'에 대한 승인 권고를 받았으며, 단일 접종으로 5개월 동안 예방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체중에 관계없이 동일 용량으로 투여 가능하며, 부작용은 경미한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일리미스테라퓨틱스, 美 보스턴 연구 거점 설립…릴리와 혁신 협력 확대
일리미스테라퓨틱스가 미국 보스턴에 연구 거점을 마련하며 퇴행성 뇌질환 신약 개발을 강화하는데 '릴리게이트웨이랩스'에 입주했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로슈, 여포성 림프종에 ‘룬수미오SC’ EU 승인 권고…투여시간 1분으로 단축
로슈가 개발한 새로운 항암 치료제 '룬수미오'가 임상시험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고, 투여 시간을 대폭 축소하면서 환자 편의성과 의료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물은 2022년 IV 제형 이후 피하주사(SC) 제형으로도 승인을 받아 환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셀트리온, EADV서 유럽 퍼스트무버 ‘옴리클로’ 글로벌 임상 데이터 발표
셀트리온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CT-P55'의 글로벌 임상1상 결과를 최초 공개했으며, 옴리클로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코센틱스의 'CT-P55'도 글로벌 임상1상 결과를 공개하며 피부질환 영역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구조조정했던 유노비아, 핫 아이템 '비만'과 'P-CAB' 잡았다
일동제약의 자회사인 유노비아가 초기 투자한 주요 파이프라인들이 좋은 성과를 보여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일동제약은 경구용 비만약 후보물질 'ID110521156'의 임상 1상 중간 결과 발표 후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25-09-22 | HitNews
원문 보기
김열홍 유한양행 사장 “렉라자 성공 열쇠, 협력과 전략…빅파마 ‘합의점’ 관건”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KIC에서 열린 강연에서, 유한양행 R&D 총괄 사장은 '렉라자'의 글로벌 상용화 성공 전략과 요인을 공유했다. 중요한 성공 요인으로 임상 효능, 전략적 파트너십, 우수 연구자, 지속적인 R&D 등을 꼽고, 혁신신약 개발을 위해 최소 50개 이상의 전임상 에셋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루닛, 글로벌 생명공학기업 ‘애질런트’와 협업…AI 동반진단 솔루션 공동 개발
루닛과 애질런트가 협력하여 AI 기반의 동반진단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는 전략적 협업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암 치료 분야에서의 성장을 모색할 예정이며, 이는 정밀의료 분야에서의 AI 솔루션을 전세계 표준으로 삼는 계획이라고 합니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현대약품·이노비젠바이오, 차세대 ADC 항암제 공동 개발 ‘맞손’
현대약품과 이노비젠바이오가 항체약물접합체 신약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국내 ADC R&D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협력한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갤럭스, AI 단백질 설계 플랫폼으로 8개 항체 성과…PD-L1 구조 검증까지
갤럭스가 갤럭스 디자인을 활용하여 8개의 치료 타깃에 대한 항체 설계 성과를 발표했다. 이는 단백질 설계 분야에서 확장성과 정밀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결과이며, AI를 이용한 신약 개발이 향후 가능성을 보여준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젬백스, PSP 치료제 후보물질 ‘GV1001’ FDA ‘혁신 치료제 지정’ 신청
한국 기업 젬백스는 미국 FDA에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 'GV1001'에 혁신 치료제 지정을 신청해, 이를 통해 약물 개발 기간을 단축할 전망이다. GV1001은 PSP 치료제로 효과를 입증하며, 지원책을 통해 빠른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GC녹십자, 코로나19 mRNA 백신 후보 ‘GC4006A’ 국내 임상1상 신청
GC녹십자가 코로나19 mRNA 백신 후보물질인 'GC4006A'의 국내 임상1상 시험 계획을 제출하고, 연내 승인을 기대하며 내년 초에 첫 투약을 시작할 예정이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중국, 다지역임상시험 북미·유럽과 '3대 축' 차지…한국에 기회"
LSK글로벌PS가 창립 25주년을 기념하는 심포지엄에서, 글로벌 신약개발 기업들이 중국과 아시아를 새로운 성장 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지역임상시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지역의 임상시험 참여가 확대되면서, CRO(임상시험수탁기관) 네트워크와 역량도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2025-09-22 | Yakup
원문 보기
노을, 자궁경부암 진단 카트리지 美 등록 완료…10월부터 유럽·중남미 판매
노을, 미국 FDA 등록 완료로 글로벌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마이랩 CER' 출시 계획. 유럽과 중남미 시장에서도 판매 예정.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바이넥스, CMO 생산시설 1만리터 증설…“글로벌 CMO 시장 한 단계 더 도약”
바이넥스가 올해 9월 착공한 신규 공장은 내년 12월 가동 예정이며, 생산능력은 약 2배로 확대될 것이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알테오젠 ALT-B4, 키트루다 SC로 美 FDA 허가… 월요일 '슈퍼갭' 시동"
알테오젠이 ALT-B4를 활용한 피하주사제인 '키트루다 큐렉스'가 미국 FDA 승인을 받았고, 유럽 EMA 승인권고를 받았다. 이로써 알테오젠은 상업화의 첫발을 내딛었으며, 향후 1조원의 수익과 로열티가 기대된다.
2025-09-22 | HitNews
원문 보기
가족친화인증과 취업규칙
기업들이 경영상 대외 홍보와 인센티브 확보를 위해 다양한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가족친화인증'을 받기 위해 취업규칙에 명시되어야 하는 내용과 가점 요소 등을 공개했다.
2025-09-22 | PharmNews
원문 보기
2형 당뇨약 대표 ‘메트포르민’,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 효과 ‘글쎄’
메트포르민이 노인성 황반변성 예방에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는 대규모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으며, 이로 인해 메트포르민의 황반변성 보호 효과에 대한 기대가 줄어들었다.
2025-09-22 | PharmNews
원문 보기
[명약만리] 타그리소, EGFR 폐암 전 주기 치료 전략 완성
글로벌 표준요법 '타그리소(오시머티닙)'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 패러다임을 바꾸고, 다양한 치료 전략을 제시하며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2025-09-22 | PharmNews
원문 보기
박영민 KDDF 단장 “국내 기업 간 M&A·파트너십 ‘인센티브’ 필요”
박영민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단장은 '첨단 제약바이오정책 세미나'에서 전 세계적으로 신약 개발 비용이 급증하여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임상 자금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M&A 지원 활성화 제도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발표했다.
2025-09-22 | TheBioNews
원문 보기
에이비엘바이오, 임상시험 '올인'…FDA 패스트트랙 'ABL001' 언급에 관심 집중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가 'LSK글로벌PS 창립 25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임상시험과 신약개발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중항체 ‘ABL001(VEGF·DLL4)’의 임상 데이터를 통해 글로벌 라이선스를 성공적으로 아웃헸고, 최근 환자들의 양성 반응을 얻은 ABL111(Givastomig, Claudin18.2×4-1BB)의 임상 사례도 소개했다.
2025-09-22 | Yakup
원문 보기
CDC, 예즈투고 전격 권고…글로벌 HIV 예방 전략 재편 예고
미국 CDC가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장기 지속형 HIV 예방주사제 '예즈투고'를 강력히 권고했지만 보험 적용 지연과 접근성 문제가 여전히 환자의 치료 선택을 제약하고 있다. 이로 인해 미국 내 환자와 보험사에 대한 압박이 높아졌으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2025-09-22 | Yakup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