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BioBrief

8월 1주차 뉴스

"동물실험 통과한 신약 90% 임상 실패"...제약바이오 R&D 대전환
미국이 동물실험 대신 신규접근법(NAMs)을 도입하고 동물실험 중심 연구에 종식 선언하여, 제약바이오산업에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NAMs은 동물 대신 비동물 기반의 시험과 평가 방법으로 개발된 것으로, 이로 인해 약물 임상시험의 효과를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하고 R&D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5-08-10 | HitNews
원문 보기
조인트스템 중앙약심 회의록 보니..."식약처, ‘임상적 유의성’만 보라"
국내 개발 골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의 품목허가 반려 결정이 중앙약심의위원회에서 공개되었으며, 회의록에 따르면 새로 제출된 자료는 이전에 반려된 임상적 유의성 부족을 보완하지 못했다.
2025-08-09 | HitNews
원문 보기
‘관세’ 압박…바이오헬스 산업, 지정학적 재편 신호탄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조치로 인해 전 세계 바이오헬스 산업이 피해를 입고 있으며, 나라마다 대응 전략이 달라지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헬스 산업의 패권 구도가 재편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5-08-08 | PharmNews
원문 보기
젠맙, R/R FL 대상 3상서 '엡코리타맙+R2' 병용요법 ORR 95.7%…FDA, 우선심사 지정
젠맙은 덴마크 제약사로서 덴마크 제약사 젠맙(Genmab)에서 개발한 엡코리타맙(epcoritamab)이 재발성·불응성 여포성 림프종(R/R FL) 환자의 치료에서 효과적임을 입증하였으며, 미국에서는 엡코리타맙 단독요법이 승인됐으며, 병용요법은 미국과 일본에서는 판매 중이며, 글로벌 상업화는 애브비가 담당하고 있다.
2025-08-08 | TheBioNews
원문 보기
릴리, 2Q 매출 17.4조 17%↑…비만·당뇨약 ‘마운자로·젭바운드’가 견인
일라이릴리는 터제파타이드를 기반으로 한 두 제품으로 인해 2분기 매출이 호조를 보였으며, 전체 매출의 43.6%를 차지했다. 오르포글리프론의 3상 임상 진행이 진행 중이고, 면역질환 분야에서도 매출 상승을 기록했다.
2025-08-08 | TheBioNews
원문 보기
디앤디파마텍, 섬유화 치료제 ‘TLY012’ 중국 물질특허 등록
디앤디파마텍이 섬유화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TLY012'에 대한 중국 지역 신규 물질특허 등록을 확정했다. 이는 섬유화 질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용도에 활용될 수 있으며, 미국과 호주에 이어 중국에서도 독점 개발 권한을 확보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2025-08-08 | TheBioNews
원문 보기
비만신약 '젭바운드' 질주에 브레이크 걸린 화이자·노보
일라이 릴리가 미국 내 항체 의약품 생산시설 매각하고 GLP-1 계열 치료제에 투자하며 생산 네트워크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경쟁사들은 GLP-1 관련 후보물질 정리에 나서 전략을 수정하고 있습니다.
2025-08-08 | HitNews
원문 보기
우로젠 ‘주스두리’, 방광암 재발 환자서 2년 반응 유지율 72%…비수술 옵션 입증
미국 바이오기업 우로젠파마가 자체 개발한 방광암 치료제 '주스두리'가 2년간 재발 없이 반응을 유지한 환자들의 비율이 72.2%로 나타났다.FDA 승인 후 장기 데이터가 공개되며, 주스두리는 외래 요법으로 수술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된다.
2025-08-08 | TheBioNews
원문 보기
[HIT 포커스] 9공장 확보 삼성바이오로직스, 론자처럼 '장기계약' 따라올까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천 송도에 제3캠퍼스 부지를 확보하여 글로벌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CDMO 시장에서는 장기 수주 계약이 중요한 경쟁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10월에 토지매매 계약을 체결할 예정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확장하고 있다.
2025-08-08 | HitNews
원문 보기
국내 최초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통증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비보존제약이 개발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가 2025년 3분기에 국내에서 상용화될 예정이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25-08-08 | PharmNews
원문 보기
“고가 신약 vs 저가 제네릭”… 美 제약시장 균형 깨질까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발언으로 미국 제약시장에 파장이 우려되고 있으나, 미국의 고가 신약과 저가 제네릭의 균형이 위협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2025-08-08 | PharmNews
원문 보기
‘혁신인가 해고인가’…바이엘 DSO 전략, 성과와 그늘
바이엘은 CEO 빌 앤더슨의 주도 하에 2025년까지 약 23억 달러 비용 절감을 목표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통해 인력을 줄이며 조직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제약 부문에서는 매출 전망을 상향 조정하며 긍정적인 실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구조조정의 효과는 기대에 못 미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들과 같이 슬림화 전략을 추구하는 가운데 일시적인 재무 개선이 장기적인 성장을 담보하지 못할 수 있음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2025-08-08 | Yakup
원문 보기
한국릴리, 마운자로 이달 출시…비만·당뇨 치료 시장 공략 본격화
한국릴리가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는 당뇨·비만 치료제 '마운자로'는 인크레틴 기반 치료제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8월 셋째 주에 국내 출시될 예정이다. '마운자로'는 혈당을 낮추고 체중을 감량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경쟁 약물인 위고비와의 비교 임상에서 우위를 보이며 가능성을 확인했다.
2025-08-08 | Yakup
원문 보기
'직직' 긋고 60일 이내 약값 낮춰라, 17개 글로벌 제약사 경고장...국내도 글로벌 반응 촉각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제약사들에게 약값을 낮추라고 요구한 것에 대해 트럼프 소셜 계정을 통해 공개했으며, 이에 대한 제약사들의 대응이 주목을 받고 있다.
2025-08-07 | PharmNews
원문 보기
와이바이오로직스, 350억원 규모 CB 납입 완료…"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 속도"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다중항체-사이토카인 융합체를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35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이번 자금은 새로운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의 연구 및 개발에 투자될 예정이다.
2025-08-07 | TheBioNews
원문 보기
[단독] 허가반려 조인트스템 전략 수정, 美 가속승인에 올인
'조인트스템'의 국내 허가가 반려된 후 네이처셀이 미국 FDA 허가로 전략을 변경하고 가속화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FDA와의 협의에 더욱 집중하고, 미국 플로리다 등에서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이며, FDA의 심사 과정을 높게 평가하며 협력할 계획이다.
2025-08-07 | HitNews
원문 보기
큐어버스, KIST·안젤리니 파마와 ‘글로벌 클러스터 R&BD과제’ 최종 선정
큐어버스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이탈리아 제약사와 함께 'CV-01'의 적응증 확장을 위한 연구와 한국-EU 공동 신약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현재 CV-01은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로 개발 중이며, 글로벌 클러스터 R&BD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2025-08-07 | TheBioNews
원문 보기
차의과학대·샌즈랩, AI기반 차세대 의료·헬스케어 보안 기술 공동개발 맞손
차의과학대와 샌즈랩이 협약을 통해 의료 AI 보안 강화 프로젝트 시작. 협력으로 의료 데이터 보안 기술 개발 및 통합 보안 프레임워크 설계에 나선다.
2025-08-07 | TheBioNews
원문 보기
샤페론, 아토피·알츠하이머 등 핵심 파이프라인 원료물질 대량생산공정 특허 등록
샤페론은 아토피피부염, 알츠하이머병, 코로나19 치료제 등 주요 파이프라인의 핵심 원료물질 대량 생산에 관한 특허를 등록하여 에버그린 특허 전략을 본격화했다. 해당 원료물질은 염증 복합체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앞으로 상업화와 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적인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2025-08-07 | TheBioNews
원문 보기
‘케이캡’ HK이노엔 성장 견인…JW중외·휴젤도 상승, 일동·한독은 역성장
한국 제약사들의 분기 매출 실적이 발표되었는데, HK이노엔과 휴젤 등은 매출 상승했으나, 일동제약과 한독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2025-08-07 | HitNews
원문 보기
日 제약 산업, 2035 비전 선포 ‘신약 개발 혁신’으로 세계 향한다
일본 제약 산업이 2035년까지 국민 건강 증진과 경제 성장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선언했다. 이를 통해 혁신적 신약 개발과 의약품의 안정적인 공급을 추구할 예정이다.
2025-08-07 | PharmNews
원문 보기
진원생명과학 주주연대 "경영 정상화 위해 실질적 대안 제시할 것"
진원생명과학의 주요 주주인 주주연대가 경영 정상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며 임시 주주총회에 나섰다. 동반성장투자조합제1호를 포함한 주주연대는 회사의 가치를 회복하고 경영진을 교체하여 경영 정상화를 추구하고 있다.
2025-08-06 | PharmNews
원문 보기
오가노이드사이언스, 獨 미다스와 손잡고 유럽·미국 진출 본격화
오가노이드사이언스가 독일의 미다스파마 및 람다바이올로직스와 협업을 강화하여 유럽과 미국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해당 협력을 통해 치료제 상용화 및 글로벌 진출 기반을 공동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25-08-06 | TheBioNews
원문 보기
FDA, ‘RP1+옵디보’ 허가 거절에 과학자 집단 반발…“재검토 촉구”
FDA가 레플리뮨의 RP1과 옵디보 병용요법에 대한 품목허가 거절에 대해 임상 설계자 22명이 공개 서한을 통해 반론을 제기했다. 해당 과학자들은 FDA의 결정이 현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RP1의 치료 효과를 지지했다.
2025-08-06 | TheBioNews
원문 보기
엑스레이 '그리드' 글로벌 1위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의료용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사업 확장"
글로벌 엑스레이 그리드 시장 1위 기업인 제이피아이헬스케어가 AI 및 클라우드 기반 신제품 확보 및 의료 외 산업·보안 영상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며 글로벌 시장 확대를 추진중이다.
2025-08-06 | TheBioNews
원문 보기
특허만료약 비아트리스?…급성심근경색 신약 ''셀라토그렐' 국내 3상
세네리모드와 셀라토그렐 소개한 '아이도시아'가 스위스에서 도입한 신약 치료제는 국내 급성 심근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3상 임상시험을 진행한다. 셀라토그렐은 자가 투여가 가능하고 빠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이 급성 심근경색 치료법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2025-08-06 | HitNews
원문 보기
비보존제약 "국내 최초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 3분기 출시"
비보존제약이 국내 최초로 상업화에 성공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를 오는 3분기 국내 출시할 예정이며, FDA 허가 및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
2025-08-06 | TheBioNews
원문 보기
퍼스트바이오-디앤디파마텍 '신경퇴행성질환 물질 NLY02’, 美 특허 등록 결정
퍼스트바이오와 디앤디파마텍이 공동으로 개발 중인 'NLY02'로 파킨슨병 모델에서 도파민 신경 보호 효과를 확인했으며, 이로 인해 미국에서 관련 특허가 등록되어 전세계적인 기술이전 전략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2025-08-06 | TheBioNews
원문 보기
BMS ‘브레얀지’, 美 우선심사 지정…MZL 첫 CAR-T 치료제 도전
BMS의 CAR-T 치료제 '브레얀지'가 변연부 림프종(MZL) 치료를 위해 FDA 우선심사 대상으로 지정됐으며, 3차 이상 MZL 환자 대상으로 95.5%의 객관적 반응률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08-06 | TheBioNews
원문 보기
TOP5 제약 5% 성장…유한ㆍGC녹십자 빛났다
국내 제약사들 중 상위 권 사이에서 원외 처방 실적이 늘어난 가운데, 유한양행과 GC녹십자가 특히 눈에 띄었으며, 각 회사가 효자 제품으로 좋은 성과를 거뒀다는 것이 강조되었습니다.
2025-08-06 | HitNews
원문 보기
“알츠하이머, 장에서 시작되다”
장내 미생물과 정신·신경계 질환 간의 밀접한 연결을 과학적으로 밝힌 김동현 교수의 연구 소개. 안 좋은 식습관이나 항생제 남용은 장내 미생물 불균형을 초래하여 신경퇴행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분변이식이나 프로바이오틱스 치료법은 증상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설명.
2025-08-06 | PharmNews
원문 보기
레보설피리드 복용 후 손떨림·운동이상증 발생…중단 후 증상 호전
70대 여성이 레보설피리드를 복용한 후 손떨림과 운동 이상을 겪어 알러지성 반응 가능성을 경고하며 주의가 요구되고, 레보설피리드는 위장 운동을 촉진하고 소화불량 증상을 개선하지만, 운동이상을 유발할 수 있어 중단 후 수개월 동안 회복이 필요하다.
2025-08-06 | PharmNews
원문 보기
브레얀지(Breyanzi), 변연부 림프종에서도 CAR T 치료 영역 넓힌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재발성 림프종 치료제 브레얀지의 우선 심사 대상으로 선정, 변연부 림프종 환자에 대한 긍정적 임상시험 결과 발표.
2025-08-06 | PharmNews
원문 보기
간 건강에 유용한 건강기능식품, 지방간 개선과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 억제
간 건강을 유지하거나 회복시켜 주는 건강기능식품은 식습관, 알콜 과다 섭취로 인한 간 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지방간, 간염, 간 암 발생률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밀크씨슬, 곰피추출물 등의 원료는 간세포를 보호하고 간 건강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섭취시 주의사항과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하다.
2025-08-06 | Yakup
원문 보기
국내 제약사들, 지방간 치료제 도전 본격화…대웅제약 임상 데이터로 주목
대웅제약이 국산 SGLT-2 억제제 '엔블로'로 지방간 개선 효과를 입증하여 국내 제약사들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분야에 적응증을 확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약 도전으로 국내 지방간 질환 시장을 책임하면서 향후 전략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2025-08-06 | Yakup
원문 보기
‘조용한 살인자’ 지방간…지금 내 간은 안전할까?
술을 많이 마시지 않고 운동도 하지만 간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 비알코올성 지방간(NASH)이 중장년층 건강을 위협하는 ‘조용한 시한폭탄’으로 지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이상지질혈증 치료제를 활용하거나 GLP-1 수용체 작용제를 활용하는 새로운 치료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으며, 지방간의 치료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으나, 정책적인 제약도 존재해야 한다.
2025-08-06 | Yakup
원문 보기
[팜랭크] 7월 제약바이오주, 코스피 훈풍 랠리에 '순항 중'
이재명 정부 출범 후 국내 증시 상승 랠리 속 제약바이오 섹터에 투자자 관심 증가.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로 증시 호재인 일동제약·셀트리온 등 주가 상승. 유틸렉스 등 일부 기업은 주가 하락.
2025-08-05 | PharmNews
원문 보기
린버크(Rinvoq), 중증 탈모 환자 절반에서 모발 회복 확인
애브비의 린버크(Rinvoq)가 중증 원형 탈모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시험에서 모발 재성장 효과를 입증했으며, 다양한 면역 질환에 대해 승인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린버크는 원형 탈모증 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2025-08-05 | PharmNews
원문 보기
아리바이오, 알츠하이머 신약 3상 중간분석…"42%에서 인지기능 유지·개선세 확인"
경구용 알츠하이머병 치료물질 AR1001의 임상3상 중간 결과 분석에 따르면 투약 환자 중 42%에서 인지기능이 개선되는 추세를 확인했으며, 안전성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AR1001은 2026년 상반기에 임상3상을 완료하고 FDA에 신약허가신청할 예정이다.
2025-08-05 | TheBioNews
원문 보기
사노피, RNAi 고중성지방혈증 신약 中 판권 확보…5500억 투자
사노피가 중국에서 고중성지방혈증 치료제 후보물질 '플로자시란'의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얻으며, 최대 5500억원을 투자한다. '플로자시란'은 중성지방 대사 조절 인자를 억제하는 RNAi 기반 치료제로, 중국에서 임상3상에 성공하고 NDA를 제출하여 혁신치료제로 지정 받았다.
2025-08-05 | TheBioNews
원문 보기
미국·중국 지정학적 긴장 고조..글로벌 제약사,한국 등 아시아 투자 '적기'
글로벌 제약사들이 아시아 바이오텍기업에 투자를 권고하고 있다. 미중 간의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글로벌 혁신 전략이 재조정되고 있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점차 글로벌 바이오텍 혁신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한편, 아시아 태평양 정부와 공공 연구기관은 초기 및 성장 단계 바이오벤처를 지원하고 민간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5-08-05 | Yakup
원문 보기
"800억 시장, 누가 웃을까?"...LG화학 '루프원' 돌격에 대웅·동국 '비상등'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무균 의약품 재평가 목록을 공개했는데, LG화학의 루프원이 생물학적 동등성을 입증해 선두를 노린다는 소식이다. 펩트론의 루프원은 재평가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LG화학과 펩트론이 기회를 모색 중인 상황이다.
2025-08-05 | HitNews
원문 보기
한미약품, 세계 첫 ‘근육 증가’ 비만신약 임상 진입 청신호
한미약품이 영국 리버풀에서 열린 ISMB/ECCB 학회에서 근육량 증가를 실현하는 '신개념 비만치료물질 HM17321'에 대한 긍정적인 임상이행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글로벌 임상1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
2025-08-05 | TheBioNews
원문 보기
SK바이오팜, 2Q 고공행진 영업익 619억 138%↑…"뇌전증 신약 1억달러 첫 돌파"(종합)
SK바이오팜은 2분기에 미국에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매출이 대폭 상승하며 역대 최고 매출을 달성했고,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도 크게 증가했다. 세노바메이트의 성과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오른 SK바이오팜은 소비자 직접 광고 등을 통해 환자와의 접점을 강화하고 있다.
2025-08-05 | TheBioNews
원문 보기
대웅제약, 대한종합건강관리학회와 ‘검진의 미래’ 연다…디지털 헬스 실증·학술 협력
대웅제약과 대한종합건강관리학회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학술, 디지털 헬스케어, ESG 등에서의 협력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에 대한 책임을 함께 진다는 공동 목표 아래 다양한 협력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2025-08-05 | TheBioNews
원문 보기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넥스파우더', 일본 보험급여 등재…9월 현지 공략 본격화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내시경용 지혈재 '넥스파우더'가 6개월 만에 일본 건강보험 급여 대상으로 지정되어 9월에 일본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08-05 | TheBioNews
원문 보기
폼타입 탈모치료제 호평 '동아제약' 일반약 관심도 1위…유한·동국 순
동아제약이 올 2분기 OTC 관심도 1위를 차지했으며, 유한양행과 동국제약이 그 뒤를 이었다. 관련 포스팅 수를 분석한 결과, 동아제약이 636건으로 가장 높았다.
2025-08-05 | Yakup
원문 보기
‘TPD² 진화’ 본격화한 오름…GSPT1 타깃 파이프라인 연쇄 공개
오름테라퓨틱은 3분기 기업설명서를 통해 새로운 임상 후보물질들을 소개하며, GSPT1을 타깃으로 하는 새로운 핵심 기술인 DAC(Degrader Antibody Conjugate) 플랫폼 전략을 전면 재정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암 치료의 혁신적 접근 방식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2025-08-05 | HitNews
원문 보기
"길리어드 10년 성공은 과거, 이제는 새로운 챕터 써나가야 할 때"
최재연이 MSD 대만 대표를 떠난 후 한국으로 복귀하여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대표이사로 새로 시작했다. 최 대표는 한국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완치를 향한 과학 혁신'을 목표로 새로운 이야기를 쓰고 있다.
2025-08-05 | PharmNews
원문 보기
치과의사 자가복용 면허정지 위법… 법원 “면허범위 외 의료행위 아냐”
한 의료인이 자신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전문의약품을 자가복용한 행위에 대한 법원 판결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은 치과의사의 자격정지 처분을 취소했는데, 이에 대해 해당 의료인은 자가치료를 금지하는 것은 형평에 어긋나며, 의료인의 자가복용은 제재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2025-08-05 | PharmNews
원문 보기
릴리 ‘키순라’ 알쯔하이머 유익성 3년 이상 쭉~
일라이 릴리社가 'TRAILBLAZER-ALZ 2 시험' 결과를 발표했는데, 알쯔하이머 치료제 '키순라'를 투여한 환자들에서 초기 증후성 감퇴 속도가 둔화되는 결과가 나왔고, 3년 이상 지속된 결과가 얻어졌다.
2025-08-05 | Yakup
원문 보기
창업 기업 ‘넘사벽’ 임상시험...체계적·전문적 교육 통해 극복한다
글로벌 수준의 임상시험 교육·컨설팅 프로그램이 운영 중인 가운데,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글로벌 임상연구회'가 국가독성과학연구소 주관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임상 시험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실패율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2025-08-05 | Yakup
원문 보기
사노피, 2Q ‘듀피젠트’ 5.5조 매출…신약 9종 매출 비중 10% 돌파
사노피는 듀피젠트(Dupixent) 매출 상승으로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0.1% 증가하며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SAR446159와 SP0202 등의 자산도 발전 중이다. 듀피젠트는 COPD와 CSU 등 8개 적응증을 확장하며 세계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암리텔리맙도 OX40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제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5-08-04 | TheBioNews
원문 보기
애브비, 2Q 매출 21.3조·EPS 가이던스↑…‘스카이리치·린버크’ 면역질환 매출 쌍끌이
애브비는 전년 대비 매출액 6.6% 성장, 영업이익도 6.5% 증가했으며 면역치료제 매출 증가와 휴미라 매출 감소 극복, 신경질환 치료제 부문의 두자릿수 성장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성과를 거뒀다.
2025-08-04 | TheBioNews
원문 보기
IPO 앞두고 신경계 R&D 강화…명인제약, '글로벌 임상+제네릭' 투트랙
명인제약이 유가증권시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하여 IPO 채비에 나서고, 중추신경계(CNS) 분야의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며 R&D 성과로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1988년 설립된 명인제약은 안정적인 수익을 기록하며, 조현병 치료 신약 후보물질 '에베나마이드'의 국내 임상3상 승인을 받고 글로벌 공동개발에 나섰다.
2025-08-04 | Yakup
원문 보기
삼성부터 스타트업까지, K-바이오 오가노이드 전쟁
국내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전장인 오가노이드 기술이 신약개발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으며, 대기업부터 중소 바이오벤처까지 다양한 기업이 활용에 나서고 있다. 업계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다른 기업들이 오가노이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이 기술의 상업화와 확산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5-08-04 | HitNews
원문 보기
알츠하이머 치료제 ‘Trontinemab’ 임상 성공…에이비엘바이오 BBB 셔틀에 관심↑
로슈가 알츠하이머 치료제 Trontinemab의 임상 1/2상 결과를 발표했는데, 전 세계 알츠하이머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Trontinemab은 기존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이 유발했던 부작용을 5% 미만으로 제한하면서 높은 안전성을 입증했고, BBB 셔틀 기술을 통해 혁신적인 알츠하이머 치료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2025-08-04 | PharmNews
원문 보기
분당차병원, '교모세포종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 국책과제 선정
분당차병원에서 조경기·임재준 신경외과 교수팀이 교모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중간엽 줄기세포 기반 MSC11FCD 유전자세포치료제의 임상연구를 보건복지부 승인을 받아 진행할 예정이다. 이 치료법은 암세포만 죽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교모세포종 환자들의 생존 기간을 연장하고 치료효과를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08-04 | TheBioNews
원문 보기
한미약품, 저용량 3제 항고혈압제 아모프렐 출시
한미약품이 고혈압 치료를 위해 새로 출시한 아모프렐은 약 세 성분을 저용량으로 복합한 혁신적인 고혈압 약물이다. 고령자와 경증 고혈압 환자 등 다양한 연령층이 쉽게 복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국내 임상에서 안정적인 혈압 조절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2025-08-04 | TheBioNews
원문 보기
HLB펩–HLB사이언스, 항균 펩타이드 치료제 공동 개발 나선다
HLB펩과 HLB사이언스가 'AGM-290'와 'AGM-380'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함. 이 협력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개발하여 다제내성균과 다양한 바이러스 질환에 대응할 목적이다.
2025-08-04 | TheBioNews
원문 보기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올해 미국 플로리다서 실용화 추진
네이처셀이 미국에서 세계 최초 중증퇴행성관절염 자가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을 상용화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GMP 규격에 맞춰 생산된 제품이 미국에서 시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회사는 미국을 시작으로 수 많은 세계의 무릎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이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5-08-04 | Yakup
원문 보기
아이엠바이오로직스, 코스닥 기술성평가 'A, A 통과'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가 코스닥 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를 통과했으며, 상장을 목표로 증권신고서 제출을 준비 중이다. 회사는 면역조절 생물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2025-08-04 | Yakup
원문 보기
대웅제약,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출…글로벌 시장에서 기회 노린다
대웅제약이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본격 진출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으며, 바이오시밀러 시장 확장이 급속히 이뤄지고 있다.
2025-08-04 | PharmNews
원문 보기
日 유산균 시장, 면역력 수요에 힘입어 성장세…한국산 수출도 26% 증가
한국산 유산균 제품이 일본 시장에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유산균 시장은 면역력 향상에 대한 관심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5-08-04 | PharmNews
원문 보기
아세클리딘 기반 점안제型 노안 치료제 최초 승인
미국 렌즈 테라퓨틱스사는 FDA의 허가를 받아 아세클리딘 기반 성인 노안 치료제 '비즈'를 발매하며, 10월에 시료제품을 소개하고 4/4분기에 본격 발매될 예정이다. '비즈'는 근거리 시력을 개선하는 효과가 10시간까지 지속되며, 부작용은 경미한 점적부위 자극, 흐릿한 시야, 두통 정도로 보고되었다.
2025-08-04 | Yakup
원문 보기